fnctId=departmentIntro,fnctNo=213
CSE1101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1(Object-Oriented Programming1) |
---|---|
1. C++의 기본적인 개념 설명 - 클래스, 객체, 함수, 배열, 포인트등 2. C++의 기본적인 개념 실습 및 응용 프로그램 작성 |
CSE1103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2(Object-Oriented Programming2) |
---|---|
C++ 언어를 바탕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데이터 추상화, 클래스, 연산자 중복, 함수 중복, 계승, 스트림 입출력 등을 배우고 Visual C++ 언어로 실습한다. |
CSE1122 | 컴퓨터공학입문 프로그래밍(Introduction to Computer Engineering Programming) |
---|---|
최근 인공지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을 통해 컴퓨팅적 사고능력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 |
CSE1312 | 이산구조(Discrete Structure) |
---|---|
컴퓨터공학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의 개념과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이산시스템이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의 많은 성질은 이산수학 구조에서 이해되고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공학도들에게 필요한 이산수학적 객체들의 기본 개념과 이들 간의 상관 관계 및 구조를 소개하고, 컴퓨터 공학과의 관계를 탐구한다. |
CSE2104 | 인터넷 프로그래밍(Internet Programming) |
---|---|
HTML, JavaScript, CSS, DHTML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 웹 프로그래밍 언어와 현대 웹 프로그래밍 언어의 대표주자인 JSP, JDBC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학습한다. |
CSE2105 | 컴퓨터기반선형대수(Computational Linear Algebra in Computer Science) |
---|---|
1. 컴퓨터공학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선형대수 개념 - 행렬, 역행렬, 벡터스페이스, 아이겐 벡터 등 2. 기본적인 선형대수 개념을 컴퓨터 응용분야에 적용 |
CSE2107 | 자바기반응용프로그래밍(Application Programming in Java) |
---|---|
본 강좌에서는 자바문법에 관한 강의는 최소한으로 하되, 자바에 특화된 기능 및 설계기법을 주로 다룬다. 주별 강의내용은 (1) 자바문법 요약, (2)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실습, (3) 자바에 특화된 기능 소개 및 적용. (4) 자바 언어를 이용한 고난이도의 프로그래밍 실습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강의 내용은 진행 중 약간의 조정이 있을 수 있음. |
CSE2112 | 자료구조(Data Structure) |
---|---|
본 강의의 주된 학습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기본 자료구조 개념 및 필요성과 응용 분야 학습 - 스택 - 큐 - 트리 - 그래프 2. 기본적인 알고리즘들의 구현 - 균형이진트리 - 깊이우선탐색, 너비우선탐색 등 |
CSE2113 | 오픈소스SW개론(Introduction to Open Source SW) |
---|---|
- 오픈소스SW 개발 환경 이해 및 협업 도구 사용법 습득 - 유명 오픈소스SW 소개 및 활용방안 학습 |
CSE2211 | 논리회로(Logic Circuits) |
---|---|
논리회로의 해석 및 설계 방법을 습득하여 조합회로, 순차회로, 기억소자 등의 설계 및 분석 방법을 공부한다. |
CSE2904 | 통계학(Statistics) |
---|---|
불확실한 현상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통계를 떼어 놓고는 말할 수 없을 정도는 통계(학)는 현대 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로 매우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람들이 유용한 분석도구로 통계(학)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강의에서는 1. 통계와 통계학에 대한 개념 및 통계학의 목적 2. 자료의 수집 및 자료의 표현 3.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4. 표본분포 5. 통계적 추정 및 검정 등에 대한 통계학의 기초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CSE3104 | 컴퓨터응용확률(Applied Probability for Computer Science) |
---|---|
본 강의는 기초 확률론 및 통계적 기법등을 다루며 이를 실제 응용에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본 개념들은 앞으로 communication systems and networks,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systems, Image and Video Processing 등의 연구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학기초에는 주로 확률의 모델링 방법과 연산에 대하여 배우며, 이후에는 Conditional Probability, Independence등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Random Variable의 이해와 응용, Limit Theorem의 기본 개념등을 공부한다. |
CSE3203 | 컴퓨터구조론(Computer Architecture) |
---|---|
자료 표현, 마이크로오퍼레이션, 로직 설계 등을 기초로 하여 중앙처리 장치, 입출력장치, 기억장치, 제어장치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간단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하드웨어에 의한 설계 및 마이크로프로그래밍에 의해 컴퓨터를 설계하여 실제적인 구성 및 동작을 이해하도록 한다. |
CSE3204 | 컴퓨터그래픽스(Computer Graphics) |
---|---|
컴퓨터 그래픽스는 기학적으로 정의되거나 계산 결과로 생성된 다양한 모델 (model)에 물리학적 법칙과 수학적 변환기법을 이용하여 현실감 있는 2차원및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을 총칭한다. 컴퓨터 그래픽스는 크게 그래픽스 시스템 기술, 모델링 기술, 렌더링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각각의 기술들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강의하며 주로 렌더링 기술에 집중한다. 4학년 게임프로그래밍의 선수과목이다. |
CSE3206 | 오퍼레이팅시스템(Operating System) |
---|---|
운영체제의 요소 들인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I/O 관리, 디스크 관리, 프로세스 동기화, 파일 관리의 개념과 각종 알고리즘들을 공부한다. Linux, uC/OS II 등의 open source 운영체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CSE3207 | 데이터베이스(Database) |
---|---|
데이터베이스 저장 관리자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이론 강의와 오라클 등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 하여 데이터베이스 정의, SQL언어의 사용에 대한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함으로써 컴퓨터정보기술 관련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최신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한다. |
CSE3209 | 시스템 프로그래밍(System Programming) |
---|---|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실험적인 구현에 대한 소개를 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작동을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틀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기계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부사항을 사용자가 알 필요 없이 응용 프로그램 구현에 초점을 맞추도록 해주는 원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본 강의를 통하여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몇 가지 중요한 유형에 대해서 배우게 될 것이다. 이전의 과정에서 컴퓨터를 사용했을 때와 같은 컴퓨터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과정들을 이해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이해함으로써, 컴퓨터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보다 깊은 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주제는 어셈블러, 로더와 링커, 컴파일러 그리고 운영시스템이다. 특히 기계 아키텍처(SIC, SIC/XE), 어셈블러, 컴파일러 및 운영 체제의 기본내용을 히애하고 응용하도록 한다. |
CSE3210 | 오픈소스응용프로그래밍(Open-Source Application Programming) |
---|---|
본 교과목은 선수과목으로써 자료구조, 오픈소스SW개론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다룬다. 1.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협업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2. Git, Docker 등의 협업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활용 3.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한 정적 및 동적 분석, 리팩토링에 대한 이해 4. C++ STL에 대한 이해 및 관련 협업 프로그래밍 과제 수행 |
CSE3212 |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s) |
---|---|
본 강좌는 TCP네트워킹의 기본사항을 다루는 강좌로서 학습내용의 난이도가 높지않고 네트워킹에 대한 기본개념이 없는 학생들도 쉽게 강의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CSE3213 | 디지털시스템설계(Digital System Design) |
---|---|
본 수업은 하드웨어 기술 언어(HDL)를 사용하여 여러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하는 원칙을 배운다. 조합회로 및 순차회로에서 시작하여 고속 가산기, 부동소수점 계산기, RISC기반 프로세서 등 여러 실용적인 프로젝트들을 설계한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 시스템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고 보장하는 방법을 배우며, 프로그래머블한 논리 소자(PLD)에서 디지털 시스템을 실행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추후에 AI/딥러닝 가속기 및 뉴로모픽/엣지 컴퓨터를 설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배양한다. |
CSE3214 | 병렬 프로그래밍(Parallel Programming) |
---|---|
본 강좌는 멀티코어 CPU와 GPU의 병렬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모델과 최적화 기술을 다룬다. C++11 멀티스레딩, OpenMP, CUDA를 사용하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병렬 프로그래밍 및 최적화 기법을 실제로 구현하고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CSE3304 | 임베디드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 |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임베디드 시스템에 탑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강좌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다루고, 임베디드 리눅스 탑재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의 지식을 습득한다. |
CSE3308 | 시스템분석(System Analysis) |
---|---|
소프트웨어 설계와 프로세스 지식을 학습하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적용하여 본다. |
CSE3309 | 문제해결기법(Problem Solving) |
---|---|
컴퓨터공학과 관련된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아이디어 발표 및 토론 기술을 습득한다. 본 강의에서는 C, C++ 등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함수와 기초적인 자료구조, 기초적인 알고리즘 설계 기법 등을 학습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기술 능력을 개발한다. |
CSE4111 | 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 |
---|---|
본 교과목은 선수과목으로써 자료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다룬다. 1.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개념 이해 2.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해 3.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사용 사례 이해 4. 성능 향상을 위한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킹 리소스 이해 |
CSE4201 | 소프트웨어공학(Software Engineering) |
---|---|
1. Product and Process in Software Engineering 2. Project Management Concepts, Software Process 3.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4. Project Planning 5. Software Testing Techniques, Software Testing Strategies 6. Object-Oriented Design, Object-Oriented Testing |
CSE4204 | 알고리즘(Algorithm) |
---|---|
1. 기본 자료구조 및 고급 자료구조 2. 알고리즘 설계 기술 및 방법 - Divide and conquer - Greedy technique - Dynamic programming 3. 다양한 알고리즘 - 정렬알고리즘 - 그래프 알고리즘 - 문자열 알고리즘 4. 복잡도 이론 |
CSE4205 | 컴퓨터공학 종합설계(Capstone Design in CSE) |
---|---|
1. 컴퓨터정보공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전공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문제를 선정한다. 2. 선정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한다. 3. 설계된 시스템을 직접 구현하고 검증한다 |
CSE4206 |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
---|---|
본 강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각각의 특성은 어떠한지를 시작으로,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고급 알고리즘과 이론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CSE4232 | 프로그래밍언어 이론(Programming Language Theory) |
---|---|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의 핵심 이론,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필요성과 그에 기반한 문제를 소개합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의 핵심 이론(전산 논리, 타입 이론, 정형 문법) - 프로그래밍 언어의 다양한 요소들 - 프로그래밍 언어 간의 비교, 프로그래밍 언어 기능에 대한 정확한 정의 - 프로그래밍 언어 지식을 활용하여 고차 함수, 객체, 패턴 매칭과 같은 현대 언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
CSE4302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
인공지능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Search, Heuristic, Knowledge Representation, Intelligent Agents 등을 학습하고, 그 응용으로써 Game Playing, Planning, Learning, Reasoning 등을 다룬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지식이 다양한 도메인 Semantic Web, Data Mining, Electronic Commerce 등에 적용되는 방법을 학습한다. |
CSE4303 | 게임프로그래밍(Game Programming) |
---|---|
3D 컴퓨터 그래픽스의 기본지식을 이용하여 게임개발에 필요한 DirectX 컴포넌트들의 활용방법을 익히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간단한 3D 컴퓨터 게임을 설계/개발 한다. |
CSE4307 | 멀티미디어 컴퓨팅(Multimedia Computing) |
---|---|
멀티미디어의 기본이 되는 정보 단위는 Text, Audio, Image, Vector graphics, Video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강의는 이와같은 기본 개념을 기본적으로 다루며, 학기 후반부에는 지능형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에 관련하여 심화된 내용을 다룬다. 개인별 프로젝트로써 이러한 기술을 종합적으로 응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출한다. |
CSE4312 | 컴파일러(Compiler Design) |
---|---|
컴파일러 과정의 학습 - 어휘분석기 - 구문분석기, 의미분석기 - 코드생성기 - 에러 처리, 심볼테이블 관리 |
CSE4313 | 컴퓨터보안(Computer Security) |
---|---|
-대칭 및 비대칭 암호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사례 분석 |
CSE4315 |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
---|---|
기계학습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수학적 풀이과정을 통해 해석한다. 나아가, 중요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해본다. |
CSE4316 | IoT와 엣지컴퓨팅 개론(Introduction to IoT and Edge Computing) |
---|---|
본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엣지 컴퓨팅의 이론적 배경, 아키텍처, 핵심 기술 및 실무적 응용 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글로벌 IT 환경에서 기술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교과목에서는 엣지 컴퓨팅의 기본 개념을 배우고 5G 네트워크, IoT, AI 등의 관련 핵심 기술을 학습하게 된다. 또한 실제 산업 사례를 찾아보고 팀을 이루어 실험용 키트를 통해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다. 주요 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엣지 컴퓨팅의 개요 2, 엣지 디바이스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요 및 아키텍처 3. 엣지 AI 구현을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활용, 4. IoT와 엣지 컴퓨팅, 5. AI와 엣지 컴퓨팅, 6. 실무 사례 연구 및 심화 프로젝트 |
CSE4317 | 딥러닝(Deep Learning) |
---|---|
본 강좌는 인공신경망의 기초 동작 원리 및 구조를 소개하고, 신경망을 효율적으로 훈련하는 알고리즘을 다룬다. 또한, 신경망을 효과적으로 훈련하기 위한 학습 알고리즘 및 수치 최적화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생활 문제를 신경망을 통해 해결하는 예제를 학습한다. |
GEB1107 | 의사소통 영어(English Communication: Pre-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초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8 | 의사소통 영어: 중급(English Communication: 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중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9 | 의사소통 영어: 고급(English Communication: Advanced)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고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12 | 크로스오버 1 : 인간의 탐색(Crossover Course 1: Humanities) |
---|---|
인문학은 학문의 영역인 동시에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서 쉼 없이 역동하는 원초적인 탐구정신이다. 그것은 자기가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고 나아가 어떤 존재로 살아갈 것인지를 결단하려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에서 출발하여, 문학, 역사, 언어, 사회, 도덕, 문화와 예술 등 인간 정신의 다양한 산물에 대한 성찰로 전진한다. 이런 인문학의 정신은 자연을 이해함으로써 그것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배하려는 과학기술의 정신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이 강의는 특히 이공계의 학생들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이처럼 중요하고 필수적이면서도 결핍되어 있기 쉬운 인문학적 정신을 자기 자신에게서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강의에서 수강자는 자아, 공동체, 옳고 그름, 학문, 예술 같은 인문학적 주제들에 대해 읽고, 생각하고, 묻고, 그리고 생각한 것을 말하거나 글로 쓰는 연습을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 지식과 더불어 인문적 감각을 갖추게 될 것이다. |
GEB1114 | 크로스오버 3 : 사회의 탐색(Crossover Course 3: Economics, Business and Law) |
---|---|
1. (경제학) 개인의 행동에 관한 7개 원칙,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7개 원칙, 경제 전체의 구성에 관한 7개 원칙, 금융 및 국제경제에 관한 7개 원칙들로 구분하여 경제학과 경제학적 사고방식을 강의한다. 2. (경영학) 구성원들의 노력을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과정으로 경영의 중요성과 유능한 경영자의 자질, 시장 지향적 고객중심 경영을 위한 마케팅의 여러 측면과 관리, 재무적 관점에서의 경영을 위한 포트폴리오 이론 등을 강의한다. 3. (회계학)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 등 재무 제표를 포함한 회계 정보를 어디서 얻고, 어떻게 이해하고, 특정한 판단과 선택을 위해서 회계 정보를 어떻게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무엇에 주의해야 하는지를 강의한다. 4. (법학) 자유와 책임, 개인간 자유의 상충에 관한 민법적, 형법적 제재와 소송 제도, 계약과 계약이행의 책임, 약자의 보호를 위한 정의와 이를 위한 장치로서 법의 역할과 한계를 강의한다. |
GEB1117 | 커리어 디자인 1(Career Design 1) |
---|---|
본 교과목은 신입생들이 바람직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신입생 대상 기초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가치 있는 삶의 목적을 수립하고, 성실한 자세로 도전하여 미래를 열어나가는 데 역점을 두며(온라인 인성교육),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토대로 졸업 후의 경력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오프라인 진로교육). |
GEB1126 | 문제해결을 위한 글쓰기(Writing and Problem Solving) |
---|---|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학술적 글쓰기 및 실용적 글쓰기의 이론과 방법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실습을 통해 향상시켜 대학에서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고 사회에서의 활동을 능독적으로 할 수 있는 교양인을 양성하는 데에 강의의 주안점을 둔다. |
GEB1143 | 미래사회와 소프트웨어-IT계열(Software and the Future Society-for the IT Engineering) |
---|---|
미래사회의 필수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적 사고력은 여러 학문 분야의 창의적 생각들을 융합의 바탕위에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 소양이다. 컴퓨팅적 사고를 기반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IT기술과 정보환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전공 기반위에서 새로운 융합 기술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스마트 모빌리티, 가상·증강현실,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등의 주제를 통해 그러한 능력 배양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
GEB1151 | 커리어 디자인 2(Career Design 2) |
---|---|
- 취업시기 도래 이전에 직무선정 및 커리어 설계의 중요성 인지를 통한 취업경쟁력 강화 - 전공맞춤형 직무선정과 산업 및 기업의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한 적절한 취업시기에의 취업성공 도모 - 구직스킬 향상을 통한 채용시장에서의 학생(지원자로서)의 장/단점 파악 |
MTH1901 | 일반수학 1(Calculus 1) |
---|---|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수학개념, 공업수학의 여러 주제(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 벡터 해석학, 적분 변환 등)를 공부하는데 필요한 대학수학 이론을 공부한다. 주요 주제인 함수의 극한, 연속성, 미분과 적분, 무한급수의 수렴과 발산, 멱급수, 일변수 함수의 테일러 전개, 극좌표, 벡터와 행렬 및 복소수의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관련한 응용문제를 살펴본다. |
MTH1902 | 일반수학 2(Calculus 2) |
---|---|
극좌표, 공간도형 및 공간벡터, 편도함수, 다중적분, 주면 및 구면 좌표계 그리고 그린 정리와 스톡스 정리 등에 대해서 공부한다. |